1. 품질관리를 통한 제조공정 관리를 위한 공정관리의 순서를 조항별로 10가지 이상 구분하여
그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수행사항이나 방법 및 역할면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상론하시오.
(1977년)
☞ 힌트 : 본문『제조공정 품질관리제도의 설정』해설 참조
2. 근대 장치공업의 생산관리 활동에서 설비관리의 역할은 대단히 큰 비중율 차지하고 있다.
이의 목적과 중요성을 간단히 논하고, 특히 설비 생산성에 대하여 가능한 한 관계식으로 표
시하고 그 요소별 항목에 대한 설비 생산성 향상책을 상론하라. (12.5점) (1977년)
☞ 힌트 : 본문『설비보전 및 관리』해설 참조
설비생산성 및 향상책 ☞ 제14장 TPM 중『설비효율화 및 설비종합효율』참조
3. 공정의 안정화를 기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라. (1978년)
☞ 힌트 : 본문『공정관리 합리화를 위한 주요 수단』해설 참조
4. 좋은 품질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중요한 사항으로서 다음의 네가지를 들었다.
각 사항에 대해 설명하라(25점). (1979년)
① 고객의 요구파악 ② 제조공정 능력의 파악
③ 협력공장의 품질조직의 평가 ④ 설계심사에 참여
☞ 힌트 : 본문『① 기획부문 품질관리, ② 생산관리 및 생산부문 품질관리→공정능력조사
③ 구매·자재부문 품질관리→외주품질관리, ④ 설계부문 품질관리』해설 참조
5. 신제품 개발의 경우 개발품이 상품화되기 까지를 품질보증 측면에서 그 순서와 요점을 일반
원칙에 입각하여 상세히 지술하라. (1981년)
☞ 힌트 : 본문『신제품개발의 상세 스텝』해설 참조
6. 다음 문제 중에서 1문제를 택하시오. (각각 20점) (1985년)
① 신제품의 품질(시장, 설계, 제조)에 대하여 그 내용을 구분 설명하라.
② 신제품의 설계에 대한 검토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라. (Design Review).
☞ 힌트 : ① 제1장 품질 및 품질관리『품질의 종류』해설 참조
② 본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 설계심사(DR)』해설 참조
7. 설계심사(Design review)의 절차를 제시하고, 각 절차상에서의 요점을 기술하라.
(20점) (1987년)
☞ 힌트 : 본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 설계심사(DR』해설 참조
8. 품질기능전개(품질전개시스템)에서의 요구품질 전개로, 품질특성 전개표(요구특성 전개표)
및 품질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점) (1994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9. 설계심사(Design Review)에 대하여 약술하고, 특히 그 목적에 대하여 열거하시오.
(16점) (1994년 1차)
☞ 힌트 : 본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 설계심사(DR)』해설 참조
10. 품질계획을 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 기술하시오. (1994년 2차)
☞ 힌트 : 본문『품질확보를 위한 업무』해설 참조
11. 외주, 구매단계에서 QA는 수입검사를 통한 QA 보다도 납입자의 공정에 대한 QA를 중시
하고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1994년 2차)
☞ 힌트 : 본문『사외조달품의 품질관리』해설 참조.
제10장 품질보증활동『조달(외주·구매) QA』해설 참조
12. 품질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고객의 요구 품질을 효과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품
질전개(QD)가 활용되고 있다. 품질전개와 (협의의) 품질기능전개를 비교하고, 영업부문에서
의 소비자요구 수용에서부터 개발. 제조단계에서 상품에 반영되기까지의 흐름을 설명하라.
(26점) (1995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13. DR(Design Review)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실시되는 단계에 따라서 세가지 종류로 분류
된다. 이 세가지 종류와 각각의 심사의 목적과 거기에 참여하는 부문은 무엇인가?
(24점) (1995년 1차)
☞ 힌트 : 본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 설계심사(DR)』해설 참조
14. 품질전개(Quality Deployment: QD)와 품질기능전개(品質機能展開: QFD)를 간단히 설명
하시오. (20점) (1995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15. 품질관리 공정도의 내용과 그 역할을 간단히 기술하시오. (20점) (1996년 1차)
☞ 힌트 : 본문『제조공정 품질관리제도 설정 → QC공정도』해설 참조
16. 계측기의 “R & R”에 대해 약술하시오. (20점) (1996년 1차)
☞ 힌트 : 본문『계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17. 사내표준화의 일환으로 자재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분류기준에 의해 자재코드를 부여하고자
한다. 귀하가 자재분류 기준을 설정한다면 어디에 기준을 들 것이며 자재코드는 어떤 방법
으로 부여할 것인지 실 예를 들어 기술하시오.
(단, 자재는 3~6가지로 분류하시요.) (30점) (1996년 1차)
☞ 힌트 : 본문『자재분류기준 운영 관리』해설 참조
18. 품질기능전개란 무엇인지 약술하고 품질표의 뜻 및 모양을 간단히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25점) (1996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19. 어느 제조업체의 작업자 기능도(숙련도)는 품질보증 및 생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
다. 안정된 품질보증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자 기능도 향상방안을 간단히 기술하시오.
(20점) (1996년 1차)
☞ 힌트 :『생산부문의 품질관리활동』의 작업자 교육훈련 참조
20.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
불만처리를 합리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불만처리를
위해서 취하는 조치를 설명하시오.(30점) (1996년 2차)
☞ 힌트 : 본문『클레임처리의 순서(클레임처리 시스템의 설계)』해설 참조
21. 품질기능전개(QFD) (1997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22. 계측기의 반복성 및 재현성(GRR) (1997년 1차)
☞ 힌트 : 본문『계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23. 중소 제조업체의 생산현장에서 발견되는 품질의 문제점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유형을 5가지만 예를 들고 그 대책을 간단히 기술하시오. (20점) (1997년 2차)
☞ 힌트 : 본문『생산단계에 있어서 QC의 과제』해설 참조
24. 측정시스템 분석을 위한 계측기는 5가지 특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1998년 1차)
☞ 힌트 : 본문『계측기의 바람직한 성질』해설 참조
25. 최근 들어 국내기업들간에 고객만족을 위한 작업자들에 의한 라인스톱(line stop) 제도의
도입이 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라인스톱 제도에 대하여 기술하고, 본 제도가 생산
성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시오. (1998년 1차)
☞ 힌트 : 도요타자동차의 TPS의 품질보증에 관련된 것으로, 무결점 운동이라고 볼 수 있음.
라인에 불량품이 발생하면 눈으로 보는 관리제도의 하나로서 표시등인 안돈(Andon)에 표
시되고 라인이 스톱되며 이 경우 잔업이 행해진다.
26. 업종(또는 산업분야) 하나를 선택하여 그 업종에 맞는 품질관리공정도를 예시(가능한 한 상
세하게)하고, 왜 그러한 품질관리공정도가 되어야 하는가(필요한가)를 설명하시오.
(1998년 2차)
☞ 힌트 : 본문『QC공정도』해설 참조
27.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이용하여 기획품질과 설계품질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1998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28. 측정장비의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 (1999년 1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MSA) → 계측기의 바람직한 성질』해설 참조
29. QFD(품질기능전개)의 수행도구로서 사용되는 HOQ(House of Quality)라는 "품질의 집”은
고객의 요구와 설계특성의 실질적인 Matching을 수행한다.
HOQ의 House 4개를 진행되는 순서대로 나열하라. (1999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30. 계량형 측정시스템 분석에서 분산분석법(ANOVA Method)은 측정오차 또는 이밖의 다른
변동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통계적 기법이다.
이 분산분석에서는 측정시스템 변동을 4가지로 분류한다. 이 4가지 변동을 쓰시오.
(1999년 2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해설 참조
31. 측정시스템 분석(MSA)을 위해서는 계측기는 5가지 특성을 만족해야 한다. 이 5가지를 나
열하고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20점) (1999년 2차)
☞ 힌트 : 본문『계측기의 바람직한 성질』해설 참조
32. 제조단계에서 설계품질 대로 되지 않는 이유 4가지를 쓰시오. (10점) (2000년 1차)
☞ 힌트 : 본문『생산단계에 있어서 QC의 과제』해설 참조. 8가지가 제시되어 있음
33. R & R에 대해 쓰시오.(10점) (2000년 1차)
☞ 힌트 : 본문『계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34. 품질문제의 요인 도출을 위한 공정관리 도구 중에 많이 사용되는 품질기능전개(QFD)의 특
징과 용도를 기술하시오. (25점) (2000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35. 품질은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사용자의 품질을 실현하기 위해 제품을
기획하고 그 성과를 시방으로 정리, 도면화한 품질은? (2000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품질표
36. 공정해석에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기법)을 5가지 이상 열거하시오.(15점)
(2000년 2차)
☞ 힌트 : 본문『품질확보를 위한 주요 수단 → 공정해석』해설 참조
37. 다음의 용어들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5문제 중 3문제 선택) (15점) (2000년 2차)
① 반복성 ② 재현성 ③ 편의 ④ 안정성 ⑤ 선형성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해설 참조
38. 중소기업체의 영업부서, 생산부서, 구매/자재부서의 PDCA 활동 사항을 실 예를 들어 간단
히 설명하시오. (2003년 1차)
☞ 힌트 : 본문『판매·서비스부문, 생산부문, 구매자재부문 품질관리』해설 참조 응용
39. 서비스 품질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2003년 1차)
☞ 힌트 : 본문『판매·서비스단계의 품질관리 기능』해설 참조
40. 고객의 소리를 설계규격으로 전환하고, 상품화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
으로써 고객의 만족과 가치를 향상시키는 기법은 무엇인가? (2003년 1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QFD
41. 측정시스템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그와 관련된 오차나 변동을 산출하게 되는데 오차와 변동
의 3가지 종류에 대해서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2003년 2차)
☞ 힌트 : 본문『측정오차의 종류, 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해설 참조
42. 고객의 욕구와 기대에 의거하여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공정을 설계하는 기법으로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가 있다. QFD가 기업에 가져다 주는 효과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5가지만 기술하시오. (2003년 2차)
☞ 힌트 : 본문『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QFD의 과정 6단계의 목적에 착안함
43. 측정시스템 분석(MSA)에서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을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
시요. (2004년)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 변동의 원인』해설 참조
44. 품질기능전개(QF),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에 대해 설명하고, 품질기능전개 4단계와
각 단계별 주요 내용을 기술하시요. (2004년)
☞ 힌트 : 본문『품질전개시스템, QFD의 과정 6단계』해설 참조
45. 외부 및 내부고객의 욕구가 모든 상황에 있어서 항상 같다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된다.
외부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부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충족시키도록 해야
한다. 고객의 욕구는 다양하고 특히 지역에 따라 다르다. 지역에 따른 고객의 욕구파악은
기업의 성공에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는 방법 중 4 가지 방법만 정
리하시오. (2005년 1회차)
☞ 힌트 : 본문『시장정보 및 기술정보의 정보원』해설 참조
46. 품질경영 활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품질정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005년 1회차)
☞ 힌트 : 본문『시장정보 및 기술정보의 정보원』해설 참조
47. 현장관리자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현장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현장관리자의 문제는 생산성이 떨어질 때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4M에 의하여 그
원인을 찾아 개선대책을 강구하고자 할 때 그 세부내용을 기술하시오. (2005년 1회차)
☞ 힌트 : 본문『생산단계에 있어서 QC의 과제』해설 참조
48. 측정시스템분석(MSA)에서 반복성과 재현성의 의미는? (2005년 2회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해설 참조
49. 측정시스템분석(MSA)을 통해서 다음의 데이터를 얻었다.
이로부터 공차대비 %R&R을 구하고 판정 및 조처사항을 기술하시오. (2005년 2회차)
EV = 3.01 AV = 3.22 PV = 4.25 규격 : 120±4.5(mm)
☞ 힌트 : 본문『정밀도와 재현성의 분리평가법』해설 참조
50. 측정시스템분석(MSA)에서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을 5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
오. (2006년 1회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 변동의 원인』해설 참조
51. 품질기능전개(QFD)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2006년 1회차)
① 품질기능전개
② 품질의 집(HOQ : House of Quality) 모형과 내용
③ 품질기능 전개의 단계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52. 계측기의 관리에 있어서 교정(Calibration)과 소급성(Traceability)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측정기의 교정 및 측정 데이터의 소급성』해설 참조
53. 품질기능전개(QFD)의 개념을 간략히 쓰시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54. 제품의 품질특성항목이 계수(정성적)와 계량(정량적) 항목이 있는데 측정의 신뢰도를 확보
하기 위해서 측정시스템(MSA)의 4가지 이상 평가방법 및 조치방법을 나열하시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MSA → 계측기성질의 평가방법, 계측기관리의 착안점』해설 참조
55. 제조기업의 생산현장에서 품질관리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핵심적인 요소로 구분하여 나
열하고 주요 활동내용을 기술하시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생산관리 및 생산 부문의 품질관리활동』해설 참조
56.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원류관리의 필요성은 자주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
로 개발단계의 중요성, 부품품질의 확보, 제조공정의 안정성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고 있
다. 그렇다면 부품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협력사 중심의 부품품질 확보 방안을 설명하시
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외주 품질관리』해설 참조
57. 설계검토(Design Review)의 각 단계별 검토내용을 기술하시오. (2006년 2회차)
☞ 힌트 : 본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 설계심사(DR)』해설 참조
58. 계측기의 재현성 및 반복성(R&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07년 1회차)
☞ 힌트 : 본문『계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59. 품질기능전개(QFD)에서 품질의 집은 고객의 요구품질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때 고객의 요구사항은 어떤 방법을 통해 입수하는지 7가지 이상을 열거하시
오. (2007년 1회차)
☞ 힌트 : 본문『시장정보 및 기술정보의 정보원, HOQ(품질의 집』해설 참조
60. 품질관리 공정도의 구성내용을 7가지 이상 열거하시오. (2007년 1회차)
☞ 힌트 : 본문『QC공정도』해설 참조
61. 클레임(claim)의 정의와 그 내용을 2가지로 분류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2007년 2회차)
☞ 힌트 : 본문『QA부문의 주요 활동 → 클레임관리』해설 참조
62. 측정시스템 분석(MSA)에 대해서 차별(구별)력과 %R&R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008년 1회차)
☞ 힌트 : 본문『측정 오차, 계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63.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을 구성하는 6가지 요소를 쓰시오. (2008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전개에서 QC공정표까지』해설 참조
64. 품질기능전개(QFD)에 대해 설명하고, QFD의 추진단계 및 단계별 세부 내용에 대해 기술하
시오. (2008년 2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전개에서 QC공정표까지』해설 참조
65. 품질기능전개(QFD)의 개요와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09년도 1회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해설 참조
66. 측정시스템의 Gage R&R 평가의 내용을 기술하고 10% Rule에 부적합 할 때 개선 대책을 설
명하시오. (2009년도 1회차)
☞ 힌트 : 본문『측기 성질의 평가방법 → GRR』해설 참조
67. 측정시스템분석(MSA)에서 다루는 5가지 항목을 나열하시오. (2009년도 2회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MSA) → 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해설 참조
68. 측정불확도(uncertainty of measure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09년도 2회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MSA) → 계측기의 바람직한 성질』해설 참조
69. 품질기능전개(QFD : Quality Function Deployment)의 정의를 기술하시오.
(2010년도 1회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의 QFD 해설 참조
70. 제품설계 단계에서 사용하는 QFD와 QFC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0년도 2회차)
☞ 힌트 : 본문『요구품질의 명확화 → 품질전개시스템』의 QFD 해설, 제15장 본문『20.
QFCD (품질기능원가전개, Quality Function Cost Deployment)』해설 참조.
71. 측정시스템의 정밀성에서 반복성과 재현성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010년도 2회차)
☞ 힌트 : 본문『측정시스템의 평가 (MSA)』해설 참조
72. 제품의 좋은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품질특성에 대하여 균일성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품
질관리를 산포관리 또는 표준관리라고도 한다. 이는 좋은 품질은 곧 산포, 표준과 직결되는
요소로 언급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3정5행, 산포관리, 공정표준관리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공정 Input 요소인 6M
의 여러 요인 중에서 한 요인을 임의로 가상하여 적용 예를 설명하시오. (2010년도 2회차)
☞ 힌트 : 본문『공정해석』, 품질경영편 제14장『5S(5행)활동』, 통계적품질관리편 제7장
본문『오차』해설 참조 응용
|